[양지노인복지관] 기침과 가래 > 양지 생생정보통

본문 바로가기
메뉴이미지
서브비주얼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 생생정보통

  • HOME
  •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노인복지관] 기침과 가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양지직원
댓글 0건 조회 1,447회 작성일 23-08-29 15:27

본문

[기침의 기전]

기침은 후두와 기도가 자극되면서 반사적으로 일어납니다. 기침을 통해 가래 등을 제거하고 몸에 해로운 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우리 몸의 방어기전입니다.

[기침의 원인]

기침이 발생하는 원인은 대체로 외부에서 이물질(먼지 등)이 흡입되었거나 콧물이나 가래, 위산 등 내부 분비물에 의해 자극을 받는 경우입니다. 기도의 협착이나 종양에 의한 기도 침범이나 압박, 기도 염증질환도 기침을 유발합니다.

기침은 증상이 지속된 기간에 따라 분류합니다. 급성기 기침의 가장 흔한 원인은 호흡기 감염으로, 특히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 가장 많습니다. 호흡기 감염으로 인한 기침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이나 천식과 같은 기저 질환의 악화 또는 폐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증상이 3주~8주간 지속된 아급성 기침은 감염후 기침인 경우가 많으며, 기저 폐질환의 악화, 상기도 기침 증후군 등이 원인입니다.

만성기침은 기침이 8주 이상 지속된 경우로 위식도 역류질환, 상기도 기침 증후군(후비루증후군), 기침 이형 천식 등이 흔한 원인 질환입니다. 그 외에도 기도에 영향을 주는 비천식성호산구성 기관지염, 기관기 확장증 등의 질환들과 폐농양이나 간질성 폐질환과 같은 폐실질을 침범하는 질환들이 기침을 유발합니다. 또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와 같은 고혈압약제를 복용 중이라면 약물의 부작용으로 기침이 유발될 수 있고, 현재 흡연을 하는 경우에도 기침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기침에 대한 검사]

기침에 대한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과거력 및 여행력, 알레르기, 약물력 등 병력 청취와 신체 진찰, 흉부 X-ray촬영, 염증 수치 등 혈액검사를 실시하며, 천식이나 폐쇄성 폐질환 등이 의심될 때는 폐기능검사를 시행합니다. 또한 만성 기침의 경우 기침 외의 특이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도 기침 증후군, 기침 이형천식, 비천식성 호산구성 기관지염 그리고 위식도 역류의 순서대로 약물에 대한 기침의 반응을 통하여 진단하게 됩니다. 한 달 이상 약물치료를 해도 기침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원인을 찾기 위해 24시간 식도 pH검사, 바륨 식도조영검사, 부비동 영상의학검사, 내시경 비디오투시 연하검사, 기관지경검사 등의 추가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본문 출처 : 생활 속 자가 건강관리(국민건강보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관련사이트

  • 국민건강보험
  • 보건복지부
  • 한국노인복지중앙회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자격관리센터
  • 국방헬프콜 1303
  • 홈페이지 제작업체 웹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