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지노인복지관] 실신 > 양지 생생정보통

본문 바로가기
메뉴이미지
서브비주얼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 생생정보통

  • HOME
  •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노인복지관] 실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양지직원
댓글 0건 조회 1,449회 작성일 23-08-29 15:22

본문

544e22732e4a11f5cd053d40db3b47e9_1693289469_4611.jpg
 


* 기초 의학 정보

 실신은 뇌혈류의 일시적인 감소로 의식 소실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지러움증과 비슷한 면이 있으나 의식 소실이 있다는 점에서 구분됩니다. 응급실 방문의 3%, 병원 입원의 6%를 차지할 정도로 비교적 흔한 증상입니다. 일시적인 의식 소실이 갑자기 발생하게 되면 이로 인해 대개 넘어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특별한 치료 없이 의식을 저절로 회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실신은 이러한 의식 소실 중 외상에 의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실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지를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일반인이 이를 판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병원을 방문하여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신은 뇌혈관에 의한 경우, 심장에 의한 경우, 말초 혈관성으로 미주신경성 실신이나 기립성 저혈압 등 발생하는 원인이 다양합니다. 뇌혈관 질환은 척추뇌바닥 동맥부전, 거미막 밑 출혈 등이 대표적입니다. 심장은 부정맥, 판막성 심장병, 심근허혈, 심낭질환, 폐동맥 고혈압 등에 의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실신은 생명이 위급한 뇌혈관 질환에 의한 경우부터 혈관미주신경 실신, 상황 실신이나 기립성 저혈압처럼 추가 검사와 주의만 필요한 경우까지 심각한 정도도 차이가 큽니다. 


어떠한 실신이든지 뇌혈류의 갑작스러운 감소나 중단을 동반합니다. 심각성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뇌혈류 감소가 어떤 원인으로 일어났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가 필요하며 어떠한 상향에서 실신이 일어났는지를 자세히 확인해야 합니다. 실신 직전의 상황, 실신 도중의 상황, 실신 후의 상황, 앓고 있는 기저 질환이나 가족력에 대해 주치의와 상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저 질환의 경우 심장질환, 당노병, 불안 장애 등 정신과적 문제는 반드시 알려야 합니다. 그 외에 심장질환의 감별을 위해 심전도, 24시간 심전도, 운동검사, 심장초음파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응급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 뇌혈관에 의한 경우에는 전산화단층영상촬영(CT), 자기공명영상찰영(MRI) 등 영상의학적 검사가 같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혈액검사 역시 필요합니다.


예외적인 경우에는 특별히 병원 방문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심장문제, 두근거림, 흉통, 호흡곤란, 복시, 의식저하, 언어장애, 마비, 수 초 이상의 의식 소실 등이 있거나 전조 증상 없이 갑자기 발생하거나 의식 소실이 여러 번 일어나는 경우에는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국민건강보험 '생활 속 자가 건강관리' 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관련사이트

  • 국민건강보험
  • 보건복지부
  • 한국노인복지중앙회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자격관리센터
  • 국방헬프콜 1303
  • 홈페이지 제작업체 웹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