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지노인복지관] 안면신경마비 > 양지 생생정보통

본문 바로가기
메뉴이미지
서브비주얼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 생생정보통

  • HOME
  •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노인복지관] 안면신경마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양지직원
댓글 0건 조회 1,410회 작성일 23-08-28 16:39

본문

d5cf59a1c736599dcdb7467413f00e15_1693207781_0319.jpg 

* 기초 의학 정보

안면신경마비는 대부분 독별한 전조 종상 없이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환자들과 가족들이 당황하게 되고 직접적으로 얼굴의 변화를 겪게 되어 심리적으로 충격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안연신경마비는 아주 드문 질환은 아니고 80% 정도는 후유증 없이 회복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동반된 다른 증상에 따라 추가로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안면신경마비 중 80% 이상의 원인은 벨 마비(Bel 마비)라 불리는 신경마비입니다. 이 질환의 정확한 원인은 발혀져 있지 않지만 단순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신경 손상으로 보는 견해가 많으며 노화도 하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비가 시작되면 2일부터 5일 사이에 증상이 점점 나빠지면서 마비가 극대화됩니다. 마비가 시작되기 하루나 이틀 전에 경미하게 귀에 통종을 느끼거나 권속이 곽 찬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벨 마비는 좌우 한쪽으로만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얼굴의 한쪽이 일그러진 것처럼 보입니다. 얼굴을 움직여도 한쪽만 움직여서 얼굴 표정의 변화가 이상하게 나타납니다. 마비된 부위의 감각이 떨어지는 일도 흔히 동반됩니다. 미각이 변하거나 청각이 과민하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비가 된 신경 부위에 따라 다양한 마비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벨 마비의 60%정도는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저절로 좋아지고 적절한 치료를 하면 80% 정도는 좋아질수 있습니다. 증상이 좋아지는 데 보통 1-2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벨 마비 이외의 안면신경마비 중 대표적인 질환은 람세이 헌트증후군(Ramsay-Hunt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안면신경을 침범하여 생기는 Syndrome)입니다. 람세이 헌트 증후군은 안면신경 종양이 마비현상인데 통종을 동반하거나 청력 소실이 함께 발생하기도 합니다. 안면신경종양이 생겼거나 신경 근처에서 생긴 종양이 신경을 놀러 마비 증상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종양에 의한 신경마비는 드문 질환으로 보통 서서히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지만 예외적으로 갑작스럽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 다발성 경화증, 길람-바레 증후군과 같은 신경 질환,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 질환, 매독, 혈관 질환, 쇼그렌 증후군이나 자간증 등의 질환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비교적 드문 질환들입니다.


안면마비증상이 있을 때 감별해야 할 가장 중요한 질환은 대뇌의 운동영역에 문제가 생기는 중추성 안면신경마비인데 뇌경색이나 뇌출혈과 같은 뇌졸중이 가장 중요한 질환입니다. 뇌졸중은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뇌졸중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나면 응급 상황으로 신속하게 응급실로 방문하여 진단을 받도록 합니다. 안면신경마비 발생 후 1주 이내에 증상이 호전된다면 대부분 회복이 잘 될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각이 빠르게 회복되는 경우 회복이 더 잘 될 것으로 예측합니다. 첫 일주일 정도 사이에 신경마비의 정도가 어느 정도로 진행되는지와 회복이 빠르게 시작되는 지를 파악하면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전체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10% 정도는 영구적인 손상이나 후유증이 남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면신경마비의 치료는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마비 자체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하기도 하고 벨 마비와 람세이 헌트 증후군 환자에게 항바이러스제를 쓰기도 합니다. 눈이 잘 감기지 않아서 각막 손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눈을 찰 보호하고 눈이 감기지 않는다면 안대를 사용합니다. 삼키는 행위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흡인성 폐렴이 생기지 않도록 식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국민건강보험 '생활 속 자가 건강관리' 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관련사이트

  • 국민건강보험
  • 보건복지부
  • 한국노인복지중앙회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자격관리센터
  • 국방헬프콜 1303
  • 홈페이지 제작업체 웹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