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지노인복지관] 떨림, 진전, 떨림증 > 양지 생생정보통

본문 바로가기
메뉴이미지
서브비주얼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 생생정보통

  • HOME
  •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노인복지관] 떨림, 진전, 떨림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양지직원
댓글 0건 조회 1,303회 작성일 23-10-18 11:11

본문

7636ff73265668035c7c208bde90a92d_1697595060_2884.png
 

떨림, 진전, 떨림증



기초의학 정보


떨림, 진전 떨림증은 신체 한 부분이 떨리는 증상을 느끼고 이 증상을 본인이 억제하거나 통제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주로 손이나 머리에 흔하나, 다른 신체 부위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떨림은 많은 경우 떨림 자체가 문제가 되나, 다른 건강상 이유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떨림은 다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안정시 떨림 -  앉아 있거나 누워있는 이완 상태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말하며, 통상 떨리는 부위나 신체를 움직이면 멈추게 됩니다.


활동성 떨림 – 근육이나 신체를 수의적으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떨림을 말하며, 세부적으로 아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컵으로 물을 마시거나, 글을 쓰는 등의 신체의 활동에 수반되는 운동성 떨림

 ② 자세를 잡거나 한 다리로 서 있는 등 자세를 유지하는 데 수반되는 체위성 떨림

 ③ 벽을 민다거나, 고정된 물건에 힘을 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등척성 떨림


기능성 떨림 – 안정시 떨림과 활동성 떨림의 양상이 섞여서 나타나는 경우로, 이 경우 다른 의학적 이상을 동반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환자의 집중이나 주의를 다른곳으로 분산, 대화나, 활동등 다른곳으로 주의를 분산 시키면 증상이 소멸하게 되어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안정시 떨림의 원인

안정시 떨림의 가장 흔한 원인은 파킨슨병 또는 파킨슨 증후군입니다. 환자 본인이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주위 사람들이 환자가 자는 동안이나 쉬는 동안 손이나 신체 부위에 떨림이 확인되고,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의료진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특히 떨림의 원인이 파킨슨 병이 아닌지 확인하고, 윌슨씨 병과 같은 다른 병이 아닌지 의학적인 진찰, 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활동성 떨림의 원인 

가장 흔한 활동성 떨림은 생리적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건강하고, 정상적인 환자라도 약간의 떨림은 경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정상입니다. 이런 증상이 평소보다 심하게 혹은 평소에 느껴지지 않다가 갑자기 느껴진다면, 아래와 같은 원인을 먼저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 천식, 우울증 관련 약물을 복용하였는지?

 - 커피, 흡연 등과 같은 자극제를 사용하였는지?

 - 정서적으로 흥분되거나 불안하지 않은지?

 - 근육의 피로 등이 심하지 않은지?

 - 음주 등의 활동의 영향이 있는지?

 - 갑상선 항진증으로 진단받은 적이 있었고 약을 잘 복용하고 있는지?

 - 열이 나는지? 


위의 원인이 동반된 활동성 떨림이라면, 원인이 해결되면 없어지게 되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태성 떨림이란?

움직이려고 하면 움직이려는 부위의 떨림이 시작되는 활동성 떨림이지만 ‘생리적 떨림’과는 다르고 복용하는 약이나, 발열 등과 상관이 없으며, 때로 가족 간의 세대를 거쳐 나타납니다. 글을 쓰거나, 물을 마시려고 할 때 또는 단순히 얼굴을 만지려고 할 때 떨림이 지속될 수 있으며, 때로 고개를 떠는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행동 지침 권고


*다음과 같은 떨림 양상을 보인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본인이 인지하거나 하지 못하거나 상관없이 발생하는 안정시 떨림

 - 두통, 근력 저하, 감각 저하를 동반한 떨림

 - 자세를 잡기 힘들거나 보행에 지장을 주는 떨림

 - 갑자기 발생하여 지속되는 체위성 떨림

 - 강직을 동반한 떨림

 


*그 외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치료를 집에서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천식이나, 우울증 약의 사용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떨림

 - 커피나 흡연 등에 의해 발생하는 떨림

 - 정서적인 불안, 흥분에 의해 발생하는 떨림

 - 음주 등과 연관된 떨림

 - 격렬한 운동 후 발생하는 떨림

 - 과한 힘을 사용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떨림

 - 열이 나는 경우에 발생하는 떨림



*병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 및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떨림의 원인을 찾기 위한 신경학적 검사, 혈액검사, 혈압측정, 뇌영상 촬영을 진행합니다.

 - 진단된 떨림의 종류에 따라 다른 기전의 약물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 생활 속 자가 건강관리 중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관련사이트

  • 국민건강보험
  • 보건복지부
  • 한국노인복지중앙회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자격관리센터
  • 국방헬프콜 1303
  • 홈페이지 제작업체 웹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