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지노인복지관] 부종, 체중증가 > 양지 생생정보통

본문 바로가기
메뉴이미지
서브비주얼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 생생정보통

  • HOME
  •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노인복지관] 부종, 체중증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양지직원
댓글 0건 조회 1,299회 작성일 23-10-18 11:07

본문

7636ff73265668035c7c208bde90a92d_1697594820_5026.png 

부종, 체중 증가



기초의학 정보


부종이란 몸속에 수분이 비정상적으로 분포되고,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몸 전체적으로 부었으면 전신 부종, 특정 신체 부위만 부었으면 국소 부종으로 부릅니다. 국소 부종의 원인으로는 혈관 이상이 많아 림프나 동정맥 문제인 경우가 많고, 전신 부종의 원인으로는 전신 질환이 많아 신부전, 심부전 및 간경화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부종의 원인 질환으로는 울혈성 심부전, 간경변증, 콩팥 증후군, 갑상샘 저하증, 저알부민혈증, 약물(항우울제, 항고혈압제, 스테로이드 호르몬, 비스테로이드 항염증 약물, 사이클로스포린, 성장호르몬, 면역치료제 등), 특발성 부종, 월경전 부종, 정맥 부전증, 림프부종, 지방부종, 노인성 하지부종 등이 있습니다.


부종의 진단에 심장질환, 간질환, 신장질환, 갑상샘질환, 고혈압, 당뇨병, 결핵, 간염, 알코올중독 등의 병력과 약물 복용력이 중요한 정보를 줄 수 있고, 운동 시 호흡곤란, 발작성 야간 호흡곤란, 복수가 없으면서도 기저부 수포음, 복수 등의 증상이나, 체중 자체가 증가했는지, 다른 동반 증상은 없는지, 부종이 발생하는 시기 및 부위, 부종의 정도 등도 중요한 정보를 줄 수 있습니다.

부종의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일반혈액, 갑상샘기능, 간기능, 신기능, 간염, 알부민, 전해질 등), 소변검사, 흉부X선, 심전도 등의 검사를 먼저 시행할 수 있고, 의심되는 부위에 따라 갑상샘 초음파, 심장 초음파, 복부 초음파 등을 추가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국소 부종의 경우 염증이나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혈액검사(혈액배양검사, 적혈구침강속도, C-반응단백, 항핵항체, 류마티스 인자), 정맥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정맥혈관검사(도플러 초음파, 혈관 단층촬영), 림프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림프관 촬영술을 추가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부종의 치료는 크게 대증 치료와 원인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인 치료는 앞서 언급된 부종의 원인 질환을 찾아서 치료하는 것이고, 원인 치료가 실패하면 대증 치료를 시행합니다. 대증 치료를 위해 수분, 소금 또는 나트륨을 직접적으로 제한하고, 필요시 이뇨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부종이 있는 모든 환자에게 이뇨제를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환자는 소금이나 나트륨을 제한하고, 다리를 올려주는 것만으로도 호전됩니다. 이뇨제는 종류에 따라 신장에서 작용하는 부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환자가 가진 질환이나 상태에 따라 각각 적절한 이뇨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행동 지침 권고


* 다음과 같은 경우 병원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알코올중독, 바이러스성 간염 병력, 복수 (간경변증)

- 복부팽만감, 호흡곤란, 거품뇨, 식욕부진, 전신쇠약 (콩팥 증후군)

- 얼굴 표현 둔해짐, 쉰목소리, 눈꺼풀 처짐, 모발이 듬성하고 거칠며 건조, 피부가 거칠고 건조 (갑상샘 저하증)

- 영양부족 (저알부민혈증)

- 항우울제, 항고혈압제, 스테로이드 호르몬, 비스테로이드 항염증 약물, 사이클로스포린, 성장호르몬, 면역치료제 복용력 (약물)

- 얼굴, 입술, 혀에 통증 없는 부종 (혈관부종)

- 감염, 피부 궤양 (정맥 부전증)

- 임신 제3분기, 고혈압 (자간전증)

 


* 다음과 같은 경우 최대한 빨리 병원을 방문하여 빠른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갑작스러운 발병

- 한쪽 다리에만 나타나는 부종 (림프부종)

- 상당한 통증 또는 압통 (심부정맥혈전증)

- 호흡곤란 (울혈성 심부전, 콩팥 증후군, 심부정맥혈전증)

- 객혈 (심부정맥혈전증)



* 그 외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치료를 집에서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염분 제한

- 누운 자세로 수 시간 휴식

- 탄력 스타킹, 압박 붕대

- 잠잘 때 다리를 심장보다 약간 높게 유지

- 운동, 체중 감소



* 병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 및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부종의 원인을 찾기 위한 혈액검사, 소변검사, 심전도검사, 영상검사를 진행합니다.

- 부종의 원인에 따라 원인 치료를 하고, 원인 치료가 실패하면 대증 치료를 시행합니다.



- 국민건강보험 생활 속 건강관리 중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관련사이트

  • 국민건강보험
  • 보건복지부
  • 한국노인복지중앙회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자격관리센터
  • 국방헬프콜 1303
  • 홈페이지 제작업체 웹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