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지노인복지관] 복통 > 양지 생생정보통

본문 바로가기
메뉴이미지
서브비주얼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 생생정보통

  • HOME
  • 양지 생생정보통

[양지노인복지관] 복통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양지직원
댓글 0건 조회 1,434회 작성일 23-09-13 14:54

본문

57127195f9d1b6005176cb70df108fa4_1694584358_3601.png 

복통


기초의학 정보 

복통은 복부에 느끼는 통증으로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하는 흔한 증상입니다. 외래에 내원하는 환자의 3%,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5-10%가 복통을 이유로 내원합니다. 복통의 원인은 일일이 나열이 어려울 정도로 매우 다양합니다. 질환에 따라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부터 흔히 체했다고 이야기하는 일시적 소화불량까지 심각성의 정도 역시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복통이 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복통은 위치, 강도, 양상, 시작 시간, 지속 시간 등이 다양합니다. 복통을 일으키는 질환은 각 복부 위치에 분포하는 장기에 따라 어느 정도 예측은 가능합니다. 다만 명심하여야 할 것은 복부는 신경이 예민하게 분포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위치의 통증이 무조건 그 부분 장기의 문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우상복부 통증의 경우 급성담낭염, 급성 간염, 간농양, 급성췌장염, 십이지장 궤양 천공(찢어짐) 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좌상복부 통증의 경우에는 위염, 급성 췌장염, 비장에서의 문제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우하복부 통증의 경우 충수염, 장염, 게실염, 골반염증질환, 요관 결석, 자궁외 임신 등 산부인과적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좌하복부통증의 경우에는 자궁외임신 등의 산부인과적 문제, 골반염증질환, 장염, 요관 결석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명치 부위 통증의 경우 소화성 궤양이나 췌장염, 담도질환, 역류성 식도염, 심근 경색 등 심장 질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배꼽 부위 통증은 조기의 충수염, 위장염, 소장 패쇄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복통은 이렇게 다양한 질환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복통은 통증의 양상에 따라 무디거나 예리하기도 하고, 쥐어짜는 듯한 통증, 배고픈 느낌, 화끈거리는 양상 등 다양한 양상을 나타냅니다. 질환에 따라 통증의 양상과 위치가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통증이 배의 벽쪽에 나타나는 것인지, 내장에 나타나는 것인지에 따라 구분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통증의 종류에 따라 시사하는 질환 역시 다릅니다. 하지만 이를 스스로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을뿐더러 바람직하지도 않습니다. 



행동 권고 지침

복통을 원인으로 하는 질환은 매우 많습니다. 대부분 증상만으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섣불리 집에서의 치료를 생각하기보다 의사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최대한 빨리 병원을 방문하여 신속히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① 중등도 이상의 통증이 있는 경우 

통증 강도가 심할수록 심각한 질환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해당할 수 있는 질환은 매우 많지만 단순한 식도염위염장염 등의 질환 이외에는 대부분 여기에 포함될 가능성이 큽니다

중등도 이상의 통증이란 통증이 없는 경우를 0,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심한 통증을 10점으로 하였을 경우 4점 정도 이상의 통증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점 정도에서 진통제를 생각한다고 볼 수 있어 이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노인의 경우에는 통증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② 갑자기 시작되어 빠르게 진행되는 복통 

갑자기 시작된 심한 복통은 복부대동맥류의 파열이나 대동맥 박리, 천공(찢어짐), 자궁외 임신의 파열 등 응급치료가 필요한 질환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③ 지난 48시간 안에 복부에 부상을 입었던 경우 

최근에 복부에 부상을 당한 이후 복통이 나타난다면 복부의 충격에 의한 복부쪽 파열 등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응급에 해당할 수 있어 즉각적인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④ 고열, 빈맥, 호흡이상, 혈압 이상 등을 동반하는 경우 

고열, 빈맥, 호흡이상, 혈압이상 등이 동반되는 경우 심한 염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응급 진료가 필요합니다. 

고열은 일반적으로 38.5도 이상의 열을 의미합니다. 노인의 경우에는 고열에 해당하는 질환이 있더라도 열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빈맥은 일반적으로는 1분에 100회 이상의 맥박수를 의미하는데 일률적으로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맥이 평상시보다 빨리 뛴다면 병원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면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① 복부의 어느 한 지점에 통증이 있는지 확실히 알 수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한 지점에 통증이 확실히 알 수 있는 경우는 벽쪽 통증이 있는 경우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출혈이 있거나 천공(찢어짐) 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구역, 구토, 설사, 발열 등이 동반되는 경우 

자세한 것은 해당 증상에 대한 건강자가관리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십시오. 해당 증상이 같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보통 병원 진료가 필요할 정도인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진료를 권장합니다.


③ 임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임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자궁외 임신 등 산부인과적 문제, 임신의 관리 등을 위해 병원 진료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④ 복통이 수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복통이 수일간 지속되는 경우 만성 염증, 폐쇄, 종양 등의 가능성이 있어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 그 외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치료를 집에서 시도할 수 있습니다.  

복통의 정도가 약하고 전에 겪었던 복통과 특별히 다른 양상이 아니라면 집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죽 등 소화가 잘되는 음식과 충분한 물을 섭취하며 경과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복통이 더 심해지는 양상이거나 수일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복통은 증상의 양상도 다양하고, 가능한 질환도 매우 많아 직접 판단하기 애매한 경우에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국민건강보험 '생활 속 자가 건강관리' 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관련사이트

  • 국민건강보험
  • 보건복지부
  • 한국노인복지중앙회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자격관리센터
  • 국방헬프콜 1303
  • 홈페이지 제작업체 웹이즈